
흥미의 정의 흥미는 사물이나 일이 진행되는 과정, 혹은 어떠한 특정 사건등에 이끌리는 감정이나 정서를 나타내는 말로 관심을 가지는 정도를 말합니다. 그러니까 어떤 대상이나 경험에 대해 몰두하고 싶어 하거나 혹은 그만두려고 하는 행동적 경향을 뜻하는 말입니다. 자신의 높은 흥미를 토대로 취미나 직업을 가질 수 있다면 삶의 만족도가 향상됨은 물론이고 행복감을 느끼는 강도 또한 훨씬 강하게 됩니다. 심리학적인 흥미의 경우에도 호기심이나 적은 수준의 놀람 등의 심리학적 용어를 포괄적으로 담고 있는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각기 다양한 성향과 같이 사람마다 특정한 흥미에 대한 강도는 제각기 다른 것이 특징이며 흥미가 발달되는 과정에는 사람마다 일정한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기적인 상태로 신체적 혹은 물질적..

다름의 인정 사람들은 언제나 ‘사람은 전부 다르다’라고 쉽게 이야기를 하며 자신도 이 말에 동의하는 행동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어떻게 다른지까지는 굳이 궁금해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은 흔히 나와 '다름'을 '틀림'의 결론을 잘못 귀결되기 쉽고 이로 인해 상대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보다는 체념하거나 방관하거나 혹은 무시하게 되기도 합니다. 아마도 우리의 주변을 둘러보면 방관과 체념 혹은, 그 사이 어디쯤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는 상대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타인의 '다름’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은 이 인사이트를 자신에게 적용하여 상대방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자신의 '다름'을 타인에게 강요하면서 오히려 자신의 생각과 행동 안에 갇히게 되는 오류류를 ..

인간의 성격 인간의 성격은 모두가 느끼고 있겠지만 이해하기에 매우 복잡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도록 라벨링을 하듯 상징을 '성격'이라고 부르며 편리하게 접근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기도 합니다. 1차원적인 사람들은 존재하지 않고 또한 누군가가 자신의 모습을 한 가지 성향으로 카테고리를 정하듯 정의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버크만 진단의 결과는 사람들이 자신들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하고도 역동적이면서도 변화무쌍한 성격적 특성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사회적인 환경에 의해 학습을 하기도 하고 DNA에 내재되어 타고나기도 하며 우리가 맡고 있는 역할에 따라 적응을 하며 변화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사람들은 종종 성격이 변한다고 느끼..

복잡성의 연결 복잡하고도 각기 다른 사람들이 연결되어 관계가 깊어지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판단을 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경청하려는 자세가 필요하고 진정한 대화에 기꺼이 참여하고자 해야 합니다. 대화라는 도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줄 때 우리는 협력하고자 하는 노력을 시도하며 방법을 찾아나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말하는 것은 너무도 쉬운 일이지만 이것을 알고 있으면서 실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우리가 생존을 위해서 혹은, 성장을 위해 서로의 연결을 필요로 하는 사회적인 존재들임에도 불구하고 매일 하고 있는 우리의 의사소통이 직장이나 가정에서 하나의 숙제와도 같은 도전적 과제가 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로부터 듣는 이야기 가운데 '업무가 힘든 것은 참을 수 있지만 사람이 힘..

버크만 진단의 세계관 버크만 진단의 세계관을 설명하는 데 있어 가장 근사한 이미지는 바로 가지가 풍성한 나무가 땅 속에 깊게 뿌리를 내리고 있는 한 장의 사진입니다. 계절의 변화에 맞춰 나뭇잎들은 우리에게 푸르름과 앙상함을 반복하며 성장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정작 나무를 견고하게 붙잡고 자양분을 흡수하는 것은 바로 그 뿌리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을 이해할 때에도 눈에 보이는 평소행동과 눈에 보이지 않는 흥미와 욕구를 나누어서 바라볼 수 있다는 설명을 할 수 있습니다. '은행나무'라든지 '자작나무'와 같이 사람들의 관찰을 통해 오랜 경험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토대로 눈에 보이는 모습들을 가지고 타인을 판단을 하게 되는데 이는 너무나 당연한 반응입니다. 그런데, 이것만 가지고 사람을 이해..

관찰 관찰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주의를 들여 사물이나 현상을 자세히 살펴본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조금의 부연설명이 필요한데 관찰은 카메라로 찍어놓은 사진을 보고 이야기를 하듯 내가 설명하는 내용과 상대방의 설명이 동일해야 합니다. 그러니까 관찰에는 자신의 느낌이나 자신이 만들어낸 스토리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비를 맞고 서 있는 한 남자'에 대해 누군가는 '쓸쓸해 보인다'라고 할 수도 있겠고 또 다른 사람은 '시원해 보인다'라고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특정한 장면에 대해 자신이 가지게 되는 감정이나 느낌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바라보는 것을 관찰이라고 합니다. 또한, 사람들은 스포츠를 비롯하여 각 영역에서 역경을 딛고 일어서서 마침내 성공을 해낸 사라들의 숨은 ..